top of page
shutterstock_1779743897.png

​부정선거,

뉴스에 보도되지 않는
여러 의혹과 이야기들

2.png

눈에 보이는 전쟁은 뉴스의 헤드라인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이 위협은
정작 뉴스에 거의 보도되지 않습니다.

미국, 루마니아, 몰도바는

부정선거 문제로 재선거를 실시했으며
캐나다와 호주는 중국의 선거 개입 의혹으로
많은 사회적 갈등을 겪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국가들이 부정선거 관련 갈등을 겪었습니다.
이제, 부정선거는 국제적인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 대한민국의 상황은 과연 어떨까요?


Frame 2.png

국제선거감시단 (IEMT)
한국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외교·전략·
사이버 안보·인권 분야를 이끌었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그들은 2025년 6월 3일 한국 대선을 직접 참관했고
심각한 문제들을 공식적으로 제기했습니다.

 

이들은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6월 26일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기자회견을 열었고
한국 부정선거 관련 보고서를
미국 국가정보국장(DNI)에게 제출했습니다.

이어 6월 30일,
미 의회 상·하원 의원 및 보좌진을 대상으로
의혹의 실체를 공개 발표했습니다.

International Election Monitoring Team (IEMT) 1
IEMT_National Press Club briefing about Election Fraud in South Korea
스크린샷 2025-06-18 오후 10.27.19 2.png
Proof of Chinese person voting in Korea with passport

중국인들의 한국 대선투표 인증,
대리투표로 구속된

선거사무원 등
풀리지 않는 수많은 의혹

공정하고 투명해야 할 선거 과정에

부정 의혹이 쏟아졌습니다.

지금까지 드러난 채용비리만 878건으로 밝혀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해당 사건들을
‘부실 운영’ 및 ‘행정적 실수’로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그 의혹들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있습니다.

Proof of Chinese person voting in Korea 3
trump-02.png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현 행정부는
부정선거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을까?

favic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s based on reports and materials submitted by citizens and the media, and is not intended to slander or defame any particular institution or individual.

Today 

214

Total

bottom of page